[aws] aws management console 계정 만들기
AWS(Amazon Web Services) 란?
Amazon Web Services(AWS)는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플랫폼이다. AWS는 다양한 IT 리소스를 제공하여 기업과 개발자들이 필요에 따라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등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주요 특징]
- 온디맨드 서비스: 사용자는 필요한 만큼만 리소스를 사용하고 요금 지불 가능.
- 확장성: 기업의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쉽게 확장하거나 축소 가능.
- 다양한 서비스: AWS는 컴퓨팅, 데이터베이스, 머신러닝,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 글로벌 인프라: 전 세계 여러 지역에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여 사용자에게 빠른 접근성과 유연성 제공.
AWS는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넓은 범위의 기업에서 사용되며, 현대 IT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머신러닝, 게임 개발, 모바일, 컴퓨팅 등등의 카테고리 안에도 수많은 서비스가 있다.
AWS 사용을 위한 계정 만들기
준비물: 핸드폰,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카드는 마스터 또는 비자 여야 함.
먼저, 구글에서 aws console 을 입력하거나, 하단의 링크를 클릭하여 AWS Management Console 사이트에 접속
https://aws.amazon.com/ko/console/
오른쪽 상단의 [콘솔에 로그인] 버튼 클릭하여
aws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메일 주소와 사용자 명을 입력하고 [Verify email address] 를 클릭하면 등록한 메일에 코드가 온다.
※ 이렇게 등록한 메일은 루트 메일이라고 한다.
코드를 입력하고, 주소지와 전화번호, 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나면 (이거는 너무 쉬워서 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ccounts/latest/reference/manage-acct-update-root-user.html
등록한 메일로 가입 완료 안내 메일이 온다.
※ 등록한 카드로 해외 결제 100원이 되었다가 바로 취소된다. (아마도 카드 확인 차원인듯 하다.)
◆ 중요!
로그인을 하고나면 위치가 서울이 아닌 다른 곳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서울로 바꾼다.
aws 요금
처음에 가입하고나면 12개월동안 Free Tier 한도 내에서 모든 AWS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요금을 확인해보려면 로그인 된 상태에서
[과금 정보 및 비용 관리 홈]을 선택해 보면 되는데, 계정을 갓 생성한 상태라 아무런 데이터가 없다.
또한, [Cost Exploer]를 클릭해보면 첫 가입일이라 집계되는 데이터가 없어 24시간 후에 확인하라는 메시지가 뜬다.
[aws 요금 체계]
aws 서비스 항목이 많은 만큼, 상세한 내용은 하단 링크에서 확인해 보는 게 좋다.
AWS 제품 및 서비스 요금 | Amazon Web Services
AWS는 방대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사용량에 따른 요금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AWS에서는 장기 계약이나 복잡한 라이선스 없이 필요한 개별 서비스에 대해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aws.amazon.com
다음 내용
[클라우드] 도메인 만들기 (feat. 가비아)
가비아에서 도메인 만들기 클라우드 수업을 하면서, 앞으로 작업한 내용을 올려두고 포트폴리오로 사용하기 위해 도메인을 하나 만든다. ★ 도메인이란?도메인은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를 식
puppy-foot-i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