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및 기타/Cloud : AWS

[aws] 인스턴스 생성하기

기록자_Recordian 2025. 2. 18. 14:14
728x90
반응형
이전 내용
 

[aws] VPC, 서브넷, IGW, 라우팅 테이블 설정하기

이전 내용 [aws] route 53 으로 DNS 작업하기이전 내용 [클라우드] 도메인 만들기 (feat. 가비아)가비아에서 도메인 만들기 클라우드 수업을 하면서, 앞으로 작업한 내용을 올려두고 포트폴리오로 사

puppy-foot-it.tistory.com


aws console에서 인스턴스 생성하기
EC2 생성

 

이전에 VPC를 생성하고 그 안에 서브넷을 생성한 뒤, VPC가 사용자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생성 및 연결하고 서브넷이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타고 나가도록, 그리고 서브넷끼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 및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번에는 서브넷 안에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관련된 작업들을 진행해 본다.

 

◆ 인스턴스 생성

먼저, aws console에서 ec2 를 검색하면 EC2 화면이 뜨는데, 거기서 [인스턴스 시작] 클릭

 

인스턴스 시작 탭의 각 항목을 입력 및 설정하면 되는데,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에서 Amzaon Linux 선택 후 '더 많은 AMI 찾아보기' 클릭(빨간 네모)

 

이 중에 두 번째(빨간 네모) AMI를 선택한다.

 

그리고나서 화면이 바뀌는데, 인스턴스 유형은 앞전에 내가 선택했던 AMI에 따라 설정이 된다. (프리 티어 사용 가능: 프리 티어 기간 내 무료 이용 가능)

 

◆ 키 페어 생성

키 페어는 인스턴스를 연결해주는 키로, 처음 인스턴스를 생성 시에는 키 페어가 없으므로 새로운 키 페어를 생성해 줘야 한다. (빨간 네모 클릭)

 

키 페어 이름을 입력하고, 유형 및 파일 형식을 확인 후(기본 설정에서 바꾼 것이 없었다) '키 페어 생성' 버튼 클릭을 하게 되면 키 페어 파일(pem 확장자)이 자동으로 다운로드 되는데, 이 파일이 후에 쓰이므로 잘 보관해 둔다. (중요한 곳에 이동하여 잘 보관해 둔다.)

 

다른 곳에서 할 경우를 대비해서 웬만하면 구글 드라이브에 올려두거나, 카톡에 보내놓거나 USB에 보관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처음에 그냥 pc에 놔뒀다가 집에서 다시 하는데 키 페어 파일이 없어서 중단했던 이력이 있다.)


보안그룹 생성 및 설정

 

네트워크 설정 전에 보안 그룹을 설정 해줘야 하는데, 하단 링크에서 절차 확인

 

[aws] 보안 그룹 설정하기

이전 내용 보안 그룹 생성 및 설정하기 EC2 화면의 [보안] - [보안 그룹] 으로 들어간 뒤, '보안 그룹 생성' (빨간 네모)를 클릭한다. 보안 그룹 생성 항목의 이름 및 설명 (본인 프로젝트 명) 을 넣

puppy-foot-it.tistory.com


인스턴스 생성 이어하기

 

◆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 창에서 '편집' (빨간 네모) 버튼을 클릭 후, 

 

앞서 생성 및 설정한 보안 그룹을 선택하고

 

우측 화면의 요약 창에서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르면

 

인스턴스가 생성 및 시작된다.

인스턴스를 누르면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내용

 

[aws] 보안 그룹 설정하기

이전 내용 보안 그룹 생성 및 설정하기 EC2 화면의 [보안] - [보안 그룹] 으로 들어간 뒤, '보안 그룹 생성' (빨간 네모)를 클릭한다. 보안 그룹 생성 항목의 이름 및 설명 (본인 프로젝트 명) 을 넣

puppy-foot-it.tistory.com

 

[aws] 리눅스 서버 연결 및 nginx 설치

이전 내용 [aws] 인스턴스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VPC, 서브넷, IGW, 라우팅 테이블 설정하기이전 내용 [aws] route 53 으로 DNS 작업하기이전 내용 [클라우드] 도메인 만들기 (feat. 가비아)가비아에서

puppy-foot-it.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