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및 기타/Cloud : AWS

[aws] 로드 밸런서 생성 및 서브넷 연결하기

기록자_Recordian 2025. 2. 18. 18:10
728x90
반응형
이전 내용
 

[aws] 리눅스 서버 연결 및 nginx 설치

이전 내용 [aws] 인스턴스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VPC, 서브넷, IGW, 라우팅 테이블 설정하기이전 내용 [aws] route 53 으로 DNS 작업하기이전 내용 [클라우드] 도메인 만들기 (feat. 가비아)가비아에서

puppy-foot-it.tistory.com


로드 밸런서 생성하기

 

이제 두 서브넷의 부하를 분산시키고 오토스캐닝을 위한 로드 밸런서를 생성한다.

먼저 EC2에서 로드 밸런스를 선택한 뒤, '로드 밸런서 생성' 버튼 클릭

 

로드 밸런서의 유형에는

Application Load Balancer

Network Load Balancer

Gateway Load Balancer

그리고, 이전 버전인 Classing Load Balancere가 있다.

 

이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형인 Application Load Balancer 로 생성하려고 한다.

아래의 화면에서 '생성' 버튼 클릭

※ 처음에는 Classic 버전으로 했다가, 삭제하고 Application 버전으로 재생성했는데 캡처하면서 하다보니 섞여 있을 수 있다. 어쨌든 Application Load Balancer로 생각하고 따라하면 된다.

로드 밸런서 이름을 입력하고,

체계를 선택하면 되는데, 인터넷 경계는 프론트 엔드(외부 사용자 접속을 위함)용, 내부는 백엔드(DB 같은 내부 자료)용으로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나서 VPC에 매핑을 해주고 가용 영역에서 기존에 만들어둔 2개의 서브넷을 선택하면 된다.

만약, 서브넷이 하나만 뜨거나 한다면... 서브넷 부분으로 다시 돌아가서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여기까지 한 다음에!

로드 밸런서를 위한 보안 그룹을 새로 생성해서 로드 밸런서에 연결해야 하니까, 로드 밸런서 생성은 잠시 멈추고 (종료하면 안됨!)

새로운 탭을 열고 EC2 - 보안 그룹 생성 으로 들어가서 보안 그룹 이름과 설명을 입력하고,

VPC를 연결한 뒤 인바운드 규칙을 생성한다.

※ SSH 말고 HTTP와 HTTPS 용 두 개만 만들면 된다.

 

 

그리고나서 다시 로드 밸런서로 넘어와서 앞서 생성한 보안 그룹을 선택하고 '로드 밸런서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로드 밸런서를 생성한 다음에 대상 그룹을 연결해야 하는데, 이 역시도 없으므로 새로 생성해줘야 한다.


대상 그룹 생성

 

대상 그룹은 EC2 - 로드 밸런싱 - 대상 그룹에서 생성할 수 있다.

 

대상 그룹 탭으로 넘어온 뒤 '대상 그룹 생성' 버튼을 클릭하고

 

그룹 세부 정보 지정에서 '인스턴스' 체크 후 

 

그룹 이름을 입력하고

포트와 VPC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나서 대상 등록에서 서브넷을 선택한 뒤 등록해주면 된다.

 

 

 

 

처음에는 상태가 'Initial' 이다가 조금 지나면 'Healthy' 로 바뀐다.

 


로드 밸런서 이어서 작업하기

 

대상 그룹을 생성한 뒤, 리스너 및 라우팅에서 리스너를 생성하고 HTTP와 HTTPS를 등록해주면 되는데, 이때 앞서 만든 대상 그룹을 선택해줘야 다음 작업으로 넘어갈 수 있다.

 

그리고 보안 리스너 설정에서 이전에 받아둔 인증서를 연결하기 위해 하단 그림에서 'v' 체크된 부분을 선택해주면 된다.

(ACM에 저장된 인증서를 연결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하면 로드 밸런서가 생성되며, 해당 로드 밸런서의 DNS 이름을 주소창에 복사하면

 

홈페이지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주소 옆에 '주의 요망' 이라는 글자가 보이는데, 이를 위해서는

 

Route53을 켜고 DNS 관리 → 호스팅 영역 클릭 → 호스팅 영역 설정 → 레코드 생성으로 이동하여 레코드를 생성한다.

레코드는 2개를 생성하면 된다. (아래 그림 참고)

  • 이름 설정 - 별칭 ON
  • 레코드 유형 선택
  • 라우팅 대상 선택
  • 리전 선택
  • 로드 밸런서 선택

 

그리고나서 이전에 만들어둔 도메인 주소(https://) 로 접속하면!

이렇게 문제 없이 사이트가 출력된다. (색상이 다른 건 2a, 2c Zone 으로 이중화를 시켜서 로드 밸런서로 연결했는데, 이 둘을 구분하기 위해 html을 수정했기 때문이다.)

 

앞서 등록했던 인증서도 잘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내용

 

[aws] VPC, 서브넷, 인스턴스 등 삭제하기

이전 내용 [aws] 로드 밸런서 생성 및 서브넷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리눅스 서버 연결 및 nginx 설치이전 내용 [aws] 인스턴스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VPC, 서브넷, IGW, 라우팅 테이블 설정하기이

puppy-foot-it.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