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VPC, 서브넷, 인스턴스 등 삭제하기
이전 내용
[aws] 로드 밸런서 생성 및 서브넷 연결하기
이전 내용 [aws] 리눅스 서버 연결 및 nginx 설치이전 내용 [aws] 인스턴스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VPC, 서브넷, IGW, 라우팅 테이블 설정하기이전 내용 [aws] route 53 으로 DNS 작업하기이전 내용 [클라
puppy-foot-it.tistory.com
aws console에서 생성한 것들 삭제하기
지금까지 aws console을 통해 생성한 것들과 과정은 아래와 같다.
DNS 작업 → VPC 생성 → 서브넷 생성 → 인터넷 게이트웨이(IGW) 생성 → 라우팅 테이블 생성 → 보안그룹 생성→ niginx 를 통해 리눅스 서버 연결 및 웹서버로 변경 → 로드 밸런서 생성 → 도메인 등록 → HTTPS 등록(인증서)
[등록 작업 관련 글]
[aws] aws management console 계정 만들기
[aws] VPC, 서브넷, IGW, 라우팅 테이블 설정하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비아에서 만든 도메인을 실제로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하여 노출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만약 이 서버를 더이상 운영하고 싶지 않다고 그냥 놔두면 aws에서 비용을 계속 청구하기 때문에 삭제를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번에는 앞서 생성 및 설정한 것들을 삭제하는 것을 진행해 보려고 한다.
단,
1. 인증서는 가만히 놔둬도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삭제하지 않고 놔두기로 한다.
2. Route53 으로 작업한 DNS 역시 그대로 놔두기로 한다. (삭제 후 다시 생성할 것이므로)
삭제 순서
'삭제할 때 모든 것을 품고 있는 VPC를 그냥 삭제해 버리면 되는 것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aws console에서 진행한 순서가 정해져 있듯, 삭제에도 순서가 있다. 또한, 제대로 삭제해야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삭제 순서는 아래와 같다.
인스턴스 삭제 → 로드밸런서 → 대상 그룹 → 보안 그룹 → 라우팅 테이블 → 인터넷 게이트웨이 → 서브넷
→ VPC 삭제
물론, 각 과정에서 삭제를 하기 전에 해야할 작업들도 있다. 이제부터 이를 비교적 상세히 설명해 보도록 한다.
인스턴스 삭제
먼저, 인스턴스 삭제를 위해 [EC2] - [인스턴스] 에 들어가서 생성한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인스턴스 상태에서 '인스턴스 종료(삭제)'를 클릭한다.
그러면 인스턴스를 종료(삭제) 할 거냐는 창이 뜨는데, 종료(삭제) 버튼을 클릭해주면 비교적 간단히 삭제된다.
로드 밸런서
다음으로, 로드 밸런서는
[EC2] - [로드 밸런싱] - [로드밸런서] 로 들어간 다음,
삭제할 로드 밸런서를 선택하고 [작업] - [로드밸런서 삭제]를 클릭해주면 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로드 밸런서를 삭제할 거냐는 창이 뜨면서 입력 창에 '확인' 을 입력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해주면 간단히 삭제된다.
대상 그룹 삭제
대상 그룹 삭제 역시 '로드 밸런서' 칸 밑에 있는데, 대상 그룹 삭제 역시 삭제할 대상 그룹을 선택하고 삭제 하면 된다.
보안 그룹 삭제
보안 그룹 삭제는
[EC2] - [네트워크 및 보안] - [보안 그룹] 으로 들어간 다음
바로 삭제하면 좋겠지만, 보안 그룹 삭제를 위해 해줘야할 게 있다.
먼저, 삭제할 보안 그룹을 하나 선택한 뒤, 아래 탭에 있는 인바운드 규칙 탭에서 [인바운드 규칙 편집]
그리고나서 인바운드 규칙을 삭제해주고나서 보안 그룹 삭제를 해주면 된다. (보안그룹 하나씩 진행)
라우팅 테이블
라우팅 테이블 역시 보안 그룹처럼 삭제 전에 해줘야할 게 두 가지가 있다.
1. 라우팅 연결 해제
2. 서브넷과의 연결 해제
우선, 라우팅 테이블은
[VPC] - [라우팅 테이블]로 들어온 다음
삭제할 라우팅 테이블을 선택하면 하단에 탭들이 생기는데,
여기서 [라우팅] 탭을 클릭 후, [라우팅 편집]을 클릭
라우팅 편집 창에서 '제거' 버튼을 눌러 생성된 라우팅을 삭제해 주고, '변경 사항 저장' 클릭
다시 라우팅 테이블의 하단에 있는 [서브넷 연결] 탭에서 [서브넷 연결 편집] 버튼을 누른 뒤,
연결되어 있는 서브넷들의 체크를 해제하고 '연결 저장' 클릭
이제 라우팅 테이블을 삭제할 수 있다.
인터넷 게이트웨이 삭제
다음으로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삭제해줘야 한다.
인터넷 게이트웨이도 삭제 전에 해줘야 할 것이 있는데, VPC에서 분리를 해줘야 삭제가 가능하다.
먼저 [VPC] - [인터넷 게이트웨이] 로 들어온 다음,
삭제할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선택한 후 'VPC에서 분리' 클릭하여 VPC에서 분리를 해준다.
그리고나서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삭제하면 잘 삭제 된다.
서브넷 삭제
서브넷 삭제는 간단하게 [VPC] - [서브넷] 으로 들어온 다음 삭제할 서브넷을 선택하고 서브넷 삭제를 클릭하면 된다.
VPC 삭제
VPC 삭제도 [VPC] - [VPC] 로 들어와서 삭제해주면 간단히 삭제된다.
nginx 삭제
Xshell8에서 nginx를 삭제하려면 Xshell8 에서 [세션] 에 들어간 다음, 삭제할 세션을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삭제'를 누르면 간단히 삭제된다.
다음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