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
이전 내용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이)이전 내용 [aws] Bastion Hub 만들기이전 내용 Bastion Hub 란? [Bastion Hub 개요]Bastion Hub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과 관리의 편의성을
puppy-foot-it.tistory.com
앞서 프록시 패스를 위해 default.conf 파일에 접근했던 것을 기억하는가?
과연 이 파일이 무엇이길래 수정해주니 화면이 달라졌는지 알아보려 한다.
default.conf 란?
default.conf 파일은 일반적으로 웹 서버, 특히 NGINX와 같은 리버스 프록시 서버나 Apache HTTP 서버의 기본 설정 파일을 의미한다. 이 파일은 특정 도메인이나 IP 주소에 대한 기본 동작 및 설정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default.conf 파일은 웹 서버의 기본 동작을 구성하는 중요한 파일이다. 해당 파일을 적절히 설정하면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 요청을 어떻게 처리할지를 정의하고, 다양한 기능을 쉽게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설정 변경 후에는 반드시 서버를 재시작하거나 설정 확인을 수행하여 잘못된 설정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default.conf 파일의 주요 내용]
- 서버블록 (Server Block):
default.conf 파일은 특정 도메인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 블록을 설정한다. 서버 블록 내에서는 요청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을 정의할 수 있다.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example.com;
location / {
root /var/www/html;
index index.html;
}
}
- 리디렉션 및 리버스 프록시 설정:
요청을 다른 서버로 전송하거나 특정 URL로 리디렉션 할 수 있는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
location /api {
proxy_pass http://backend-server;
}
- 정적 파일 제공 설정:
HTML, CSS, JavaScript 등의 정적 파일을 제공하는 경로를 설정한다.
예시:
location /static {
alias /var/www/static;
}
- SSL 설정 (HTTPS):
HTTPS를 사용할 경우 SSL 인증서와 관련된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
server {
listen 443 ssl;
server_name example.com;
ssl_certificate /etc/ssl/certs/example.crt;
ssl_certificate_key /etc/ssl/private/example.key;
}
- 에러 페이지 설정:
특정 HTTP 오류 코드에 대한 사용자 정의 에러 페이지를 설정할 수 있다.
예시:
error_page 404 /404.html;
[default.conf 파일의 위치]
- NGINX에서는 일반적으로 /etc/nginx/conf.d/default.conf 또는 /etc/nginx/sites-available/default 경로에 위치.
- Apache HTTP 서버에서는 /etc/httpd/conf.d/default.conf 또는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경로에서 찾을 수 있음.
'프로그래밍 및 기타 >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 (0) | 2025.02.21 |
---|---|
[Cloud] aws -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 (0) | 2025.02.20 |
[Cloud] 프록시 패스: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 (0) | 2025.02.20 |
[Cloud]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이) (0) | 2025.02.19 |
[Cloud] aws: Bastion Hub 만들기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