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내용
[aws] CloudFront
이전 내용 [aws] IAM 계정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puppy-foot-it.tistory.com
VPC 피어링
여태까지 우리가 만든 것들은 같은 종류끼리, 혹은 다른 종류끼리 연결되도록 묶어주는 것들이 있었다.
이를테면, 로드 밸런서, 인터넷 게이트웨이, 라우팅 테이블, 로드 밸런서, NAT 게이트웨이 같은 것들 말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그것들은 모두 하나의 VPC를 가지고 그 안에서 이뤄진 일들이었다.
그렇다면 VPC를 여러 개 만들어야 할땐 어떻게 해야 할까?
이를 위해서 VPC 피어링이라는 서비스가 있다.
★ VPC 피어링이란?
AWS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킹 기능으로, 서로 다른 가상 사설 클라우드( VPC)를 연결하여 두 VPC 간에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이번에는 VPC 피어링을 이용하여 두 개의 VPC를 서로 이어주는 작업을 진행해 본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vpc 말고 'VEC-DEV-VPC' 라는 새로운 vpc를 만들어줬다. (퍼블릭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 역시 생성)
[VPC] - [피어링 연결] 클릭
그리고 새로 만든 VPC(여기선 이 VPC가 요청자가 된다)를 클릭하여
'피어링 연결 생성' 클릭
피어링 연결 생성 - 설정에서 피어링 이름과 옵션들을 선택해주고 (수락자는 기존의 VPC가 된다.) 연결
그러면 수락 대기 중이라는 알람이 나오는데, 수락 VPC로 이를 수락해줘야 한다.
근데 이게 복잡한 절차가 있는 건 아니고,
그냥 [VPC] - [피어링 연결] 에서 피어링을 선택하고 '작업'에서 '요청 수락'을 클릭하면 된다.
요청 수락을 해주면 피어링 상태가 '활성'으로 바뀐다.
그리고나서 요청자 VPC의 라우팅 테이블로 들어가서 하단의 [라우팅] 탭에서 '라우팅 편집'을 클릭하고 '~/16' 이 들어간 대상을 선택한 뒤 피어링 연결을 선택하고, 생성한 피어링을 선택해주면 된다.
다음 내용
[aws] Elastic IP 할당받아 인스턴스에 연결하기
이전 내용 [aws] VPC 피어링(peering)이전 내용 [aws] CloudFront이전 내용 [aws] IAM 계정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
puppy-foot-it.tistory.com
'프로그래밍 및 기타 >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aws: AMI(Amazon Machine Image) 복제 (0) | 2025.02.21 |
---|---|
[Cloud] aws - Elastic IP 할당받아 인스턴스에 연결하기 (0) | 2025.02.21 |
[Cloud] aws: CloudFront 개념 및 배포하기 (0) | 2025.02.21 |
[Cloud] aws: IAM 계정 생성하기 (0) | 2025.02.21 |
[Cloud]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