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본문 바로가기
728x90

프로그래밍 및 기타143

[HBM] 고대역폭 메모리(High Bandwidth Memory) 란? HBM: 차세대 메모리 기술의 혁신고대역폭 메모리(High Bandwidth Memory, HBM)는 고성능 컴퓨팅과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최신 메모리 기술이다. HBM은 전통적인 메모리 구조와는 달리 여러 메모리 칩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한다.  HBM은 고성능 컴퓨팅과 AI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메모리 솔루션으로, 높은 대역폭, 에너지 효율성, 공간 절약 등 다양한 장점을 제공힌다. 최근, 챗GPT의 등장으로 인해 생성형 AI가 주목받으면서, 빅테크 기업의 투자 증대로 인한 HBM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HBM이란 무엇인가?HBM은 대한민국의 SK하이닉스가 최초로 개발하고 양산하여 2013년에 발표한 적층형 메모리 규격이며, 기.. 2024. 8. 7.
[자동화 시스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란? PLC란 무엇인가?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산업 자동화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컴퓨터 기반의 디지털 제어 장치이다.PLC는 전기, 자동차, 석유화학,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계나 공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PLC는 현대 산업 자동화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높은 유연성과 신뢰성 덕분에 복잡한 제어 작업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더욱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PLC의 주요 특징1. 프로그래밍 가능: PLC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어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다양한 제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2. 모듈식 구조: PLC는 모듈식 .. 2024. 8. 6.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란?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일반적으로 MES는제품주문에 의한 착수에서 완성품의 품질검사까지 전 생산활동을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생산현장의 각종 정보, 즉 생산실적, 작업자활동, 설비가동, 제품 품질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집계/분석/모니터링 및 생산공정을 제어함으로써 고품질의 수익 지향적생산체제를 갖추게 하는 통합 생산관리시스템을 말한다. 생산 현장에서의 생산계획의 실행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관리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제품의 품질 향상을 기대하는 고객사의 요구사항이 증대됨에 따라 기업의 업종과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고 관리측면에서의 필요사항을 고려하여 구축되는 시스템이다. 즉, MES는 제품 주문에서 최종 제품의 완성까지 생산활동의 최적화를 위해 제조현장.. 2024. 7. 17.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용어 스마트 팩토리란? 스마트 팩토리란, 제품 생산에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해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지능형 공장을 의미합니다.공장자동화와 비슷한 듯 하나, 공장자동화는 제조과정에서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무인화 공장을 지향하는 데 반해 스마트팩토리는 전체 과정을  정보통신기술로 통합해 사람과 기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합니다.즉, 스마트팩토리는 전체 과정을 정보통신기술로 통합해 사람과 기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공장의 경쟁력인 원가절감과 품질향상을 위해 사람, 시스템, 설비가 유기적으로 통합돼 최적의 상태를 찾아가는 지능형 공장입니다.     스마트 팩토리 서비스출처: KOSMO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기업은 고객현장과 산업특성에 맞춰 공장라인의 최적.. 2024. 6. 28.
[디버깅] Debugging 디버깅(Debugging)이란? 디버깅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중요한 과정으로, 프로그램의 오류나 버그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디버깅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복잡한 작업일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데 필수이며, 디버깅을 통해 프로그램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 버그는 잘못되거나 예기치 않는 결과를 초래하는 결함 또는 문제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복잡한 활동으로 버그 없이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버그는 코드가 실행되었을 때, 코드가 원하는대로 동작하지 않도록(정의되지 않은 동작을 하도록) 만들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따라, 버그는 재정적 또는 심지어 인명에 심각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 2024. 6. 11.
[LLM] 거대 언어 모델이란? (feat. GPU, NVIDIA) 챗gpt와 엔비디아 등으로 요새 LLM 이라는 단어가 주목받고 있다.그렇다면 LLM 이란 무엇인가?LLM 이란? LLM (Large Language Model)은 '거대 언어 모델' 로써, 대용량 인간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훈련된 인공지능(AI) 모델이다. 딥러닝 알고리즘과 통계 모델링을 바탕으로 자연어 처리 작업에 활용된다. 주어진 언어 범위 내에서 정해진 패턴이나 구조, 관계를 학습하는 기존 언어 모델과 달리 대규모 언어 데이터를 학습해 문장 구조 문법, 의미 등을 파악하고 자연스러운 대화 형태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콘텐츠 패턴을 학습해 추론 결과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생성형 AI의 핵심 기술로 손꼽히기도 한다.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와 메타의 ‘LLaMa’ 등이 대표적 사.. 2024. 5.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