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프로그래밍 및 기타/Cloud : AWS39 [Cloud] aws: AMI(Amazon Machine Image) 복제 이전 내용 [aws] Elastic IP 할당받아 인스턴스에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VPC 피어링(peering)이전 내용 [aws] CloudFront이전 내용 [aws] IAM 계정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puppy-foot-it.tistory.comAMI 란? [AMI(Amazon Machine Image)]EC2(Elastic Compute Cloud)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사용하는 가상 서버의 템플릿이다. AMI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서버, 애플리케이션 및 필수 설정을 포함하여, EC2 인스턴스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설정이 똑같은 인스턴스.. 2025. 2. 21. [Cloud] aws - Elastic IP 할당받아 인스턴스에 연결하기 이전 내용 [aws] VPC 피어링(peering)이전 내용 [aws] CloudFront이전 내용 [aws] IAM 계정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puppy-foot-it.tistory.comElastic IP (탄력적 IP) 란? ★ Elastic IP란?EIP(Elastic IP Address)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고정적인 공인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고,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서비스다. 탄력적 IP 주소는 AWS 계정에 할당되며 릴리스할 때까지 할당된 상태로 유지된다. 탄력적 IP 주소를 사용하면 주소를 계정의 다른 인스.. 2025. 2. 21. [Cloud] aws: VPC 피어링(peering) 이전 내용 [aws] CloudFront이전 내용 [aws] IAM 계정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puppy-foot-it.tistory.comVPC 피어링 여태까지 우리가 만든 것들은 같은 종류끼리, 혹은 다른 종류끼리 연결되도록 묶어주는 것들이 있었다.이를테면, 로드 밸런서, 인터넷 게이트웨이, 라우팅 테이블, 로드 밸런서, NAT 게이트웨이 같은 것들 말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그것들은 모두 하나의 VPC를 가지고 그 안에서 이뤄진 일들이었다.그렇다면 VPC를 여러 개 만들어야 할땐 어떻게 해야 할까?이를 위해서 .. 2025. 2. 21. [Cloud] aws: CloudFront 개념 및 배포하기 이전 내용 [aws] IAM 계정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puppy-foot-it.tistory.comCloudFront 란? 이번에는 CloudFront 라는 것을 배포해보려 한다.그전에, CloudFront 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Amazon CloudFront)는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이다.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는 웹 비디오나 기타 대용량 미디어와 같은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보다 로.. 2025. 2. 21. [Cloud] aws: IAM 계정 생성하기 이전 내용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aws]puppy-foot-it.tistory.comIAM 계정이란?출처: aws 홈페이지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은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 서비스입니다. IAM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AWS 리소스를 제어하는 권한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IAM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인증(로그인).. 2025. 2. 21. [Cloud]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 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puppy-foot-it.tistory.comWorkbench의 출력 시간(feat. UTC 시간?) 예전에 aws에서 RDS를 생성하고 DB 관리를 위한 MySQL Workbench(이하 Workbench)를 설치하여 연동하였다.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 2025. 2. 21. [Cloud]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 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이)이전 내용 [aws] Bastion Hub 만들기이전 내puppy-foot-it.tistory.comubuntu(우분투) 란? 우분투는 데비안 기반의 무료 오픈 소스 운영 체제 및 리눅스 배포판이다. 리눅스가 핵심 운영 체제이고, 우분투는 리눅스 배포본인 운영체제이다.우분투 Xshell 8로 연결하기 AWS에서 IAM 계정을 생성하고, Xshell 8 에서 우분투를 활용해 root 계정으로 접속하여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셋팅을 진행해 보려 한다.◆ IAM 계정.. 2025. 2. 21. [Cloud] aws -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 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이)이전 내용 [aws] Bastion Hub 만들기이전 내용 Bastion Hub 란? [Bastion Hubpuppy-foot-it.tistory.comRDS란? AWS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 쉽게 설치,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웹 서비스 데이터 베이스 인프라 및 업데이트들을 AWS 측에서 관리해주고 데이터베이스의 설치, 운영 그리고 관리 등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AWS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AWS에서 DB를 사용하는 방법]AWS EC2를 이용할 때, EC2 인스턴스에 관계형 데이터베이.. 2025. 2. 20. [Cloud] default.conf 란? 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이)이전 내용 [aws] Bastion Hub 만들기이전 내용 Bastion Hub 란? [Bastion Hub 개요]Bastion Hub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과 관리의 편의성을puppy-foot-it.tistory.com앞서 프록시 패스를 위해 default.conf 파일에 접근했던 것을 기억하는가? 과연 이 파일이 무엇이길래 수정해주니 화면이 달라졌는지 알아보려 한다.default.conf 란? default.conf 파일은 일반적으로 웹 서버, 특히 NGINX와 같은 리버스 프록시 서버나 Apache HTTP 서버의 기본 설정 파일을 의미한다. 이 파.. 2025. 2. 20. [Cloud] 프록시 패스: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 이전 내용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이)이전 내용 [aws] Bastion Hub 만들기이전 내용 Bastion Hub 란? [Bastion Hub 개요]Bastion Hub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과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플랫폼으로, 주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puppy-foot-it.tistory.com3-Tier 이번에는 3 티어 구조를 만드는 법에 대해 실행해 보려 한다. AWS(Amazon Web Services)의 3티어 아키텍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세 가지 주요 계층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설계하는 접근 방식으로, 다중 계층 아키텍처의 가장 인기 있는 구현이며 단일 프레젠테이션 계층, 논리 계층 및 데이터 계층으로 구성된다.이 아키텍처는.. 2025. 2. 20. [Cloud]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이) 이전 내용 [aws] Bastion Hub 만들기이전 내용 Bastion Hub 란? [Bastion Hub 개요]Bastion Hub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과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플랫폼으로, 주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의 보안 접근성을 지원puppy-foot-it.tistory.com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 이전에 만들었던 서브넷은 퍼블릭으로 외부 사용자를 위한 서버이다.[aws] VPC, 서브넷, IGW, 라우팅 테이블 설정하기 프라이빗 서브넷은 외부 사용자를 위한 서버가 아닌, 내부용 (예를 들어 고객정보 DB, 회계정보 DB 같은 중요한 회사 내부 자료) 서버로, 퍼블릭 서브넷과 생성 방법은 비슷하나, 과정 중에 몇 가지 차이가 있다. 이번에는 프라비잇 서브넷을 두 개.. 2025. 2. 19. [Cloud] aws: Bastion Hub 만들기 이전 내용 [aws] Xshell8 에서 톰캣 설치하기이전 내용 [aws] VPC, 서브넷, 인스턴스 등 삭제하기이전 내용 [aws] 로드 밸런서 생성 및 서브넷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리눅스 서버 연결 및 nginx 설치이전 내용 [aws] 인스턴스 생성하기이전 내puppy-foot-it.tistory.comBastion Hub 란? [Bastion Hub 개요]Bastion Hub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과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플랫폼으로, 주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의 보안 접근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관리자 모두에게 통합된 접근 방식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주요 기능]보안 접속 관리: Bastion Hub는 다양한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한 안전한 원격 .. 2025. 2. 19. [Cloud] Xshell8 에서 톰캣 설치하기 이전 내용 [aws] VPC, 서브넷, 인스턴스 등 삭제하기이전 내용 [aws] 로드 밸런서 생성 및 서브넷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리눅스 서버 연결 및 nginx 설치이전 내용 [aws] 인스턴스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VPC, 서브넷, IGW, 라우팅 테이블 설정하기이puppy-foot-it.tistory.com톰캣이란? 톰캣(Tomcat)은 오픈소스 웹 서버 및 서블릿 컨테이너로, 자바(Java)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이다.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Apache Software Foundation)에서 관리하며, 자바 서블릿 및 JSP(JavaServer Pages) 사양을 구현하고 있다. 톰캣은 널리 사용되는 서블릿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다양한 기능과 .. 2025. 2. 19. [Cloud] aws: VPC, 서브넷, 인스턴스 등 삭제하기 이전 내용 [aws] 로드 밸런서 생성 및 서브넷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리눅스 서버 연결 및 nginx 설치이전 내용 [aws] 인스턴스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VPC, 서브넷, IGW, 라우팅 테이블 설정하기이전 내용 [aws] route 53 으로 DNS 작업하기이전 내용 [클라puppy-foot-it.tistory.comaws console에서 생성한 것들 삭제하기 지금까지 aws console을 통해 생성한 것들과 과정은 아래와 같다.DNS 작업 → VPC 생성 → 서브넷 생성 → 인터넷 게이트웨이(IGW) 생성 → 라우팅 테이블 생성 → 보안그룹 생성→ niginx 를 통해 리눅스 서버 연결 및 웹서버로 변경 → 로드 밸런서 생성 → 도메인 등록 → HTTPS 등록(인증서) [등록 .. 2025. 2. 19. [Cloud] aws - 기본 개념: 글로벌 인프라 및 안정성 이전 내용 [aws] AWS 기본 개념 및 클라우드 컴퓨팅AWS(Amazon Web Service) 소개 ◆ 클라우드 컴퓨팅 배포 모델- 클라우드 컴퓨팅 :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이름설puppy-foot-it.tistory.com글로벌 인프라 및 안정성AWS 글로벌 인프라를 구축해서 데이터 센터의 정전이나 자연재해와 같은 일에 대비 → 고가용성과 내결함성 필요 ◆ AWS 글로벌 인프라리전(Regien) : 전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대규모 그룹의 자체 데이터 센터 [리전의 특징]- 각 리전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스토리지 및 기타 모든 서비스가 구비된 다양한 데이터 센터가 존재 (.. 2025. 2. 18. 이전 1 2 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