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프로그래밍 및 기타/Cloud : AWS39 [Cloud] aws: CloudFront 개념 및 배포하기 이전 내용 [aws] IAM 계정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puppy-foot-it.tistory.comCloudFront 란? 이번에는 CloudFront 라는 것을 배포해보려 한다.그전에, CloudFront 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Amazon CloudFront)는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이다.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는 웹 비디오나 기타 대용량 미디어와 같은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보다 로.. 2025. 2. 21. [Cloud] aws: IAM 계정 생성하기 이전 내용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aws]puppy-foot-it.tistory.comIAM 계정이란?출처: aws 홈페이지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은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 서비스입니다. IAM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AWS 리소스를 제어하는 권한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IAM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인증(로그인).. 2025. 2. 21. [Cloud] aws: Workbench에서 UTC 시간 변경하기(파라미터그룹) 이전 내용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puppy-foot-it.tistory.comWorkbench의 출력 시간(feat. UTC 시간?) 예전에 aws에서 RDS를 생성하고 DB 관리를 위한 MySQL Workbench(이하 Workbench)를 설치하여 연동하였다.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 2025. 2. 21. [Cloud] aws: ubuntu(우분투) Xshell 8 연결하기 이전 내용 [aws]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이)이전 내용 [aws] Bastion Hub 만들기이전 내puppy-foot-it.tistory.comubuntu(우분투) 란? 우분투는 데비안 기반의 무료 오픈 소스 운영 체제 및 리눅스 배포판이다. 리눅스가 핵심 운영 체제이고, 우분투는 리눅스 배포본인 운영체제이다.우분투 Xshell 8로 연결하기 AWS에서 IAM 계정을 생성하고, Xshell 8 에서 우분투를 활용해 root 계정으로 접속하여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셋팅을 진행해 보려 한다.◆ IAM 계정.. 2025. 2. 21. [Cloud] aws - 데이터베이스: RDS 생성하기 이전 내용 [aws] default.conf 란?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이)이전 내용 [aws] Bastion Hub 만들기이전 내용 Bastion Hub 란? [Bastion Hubpuppy-foot-it.tistory.comRDS란? AWS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 쉽게 설치,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웹 서비스 데이터 베이스 인프라 및 업데이트들을 AWS 측에서 관리해주고 데이터베이스의 설치, 운영 그리고 관리 등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AWS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AWS에서 DB를 사용하는 방법]AWS EC2를 이용할 때, EC2 인스턴스에 관계형 데이터베이.. 2025. 2. 20. [Cloud] default.conf 란? 이전 내용 [aws] 3-Tier의 첫걸음: 도메인 톰캣 화면으로 바꾸기이전 내용 [aws]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하기(feat. NAT 게이트웨이)이전 내용 [aws] Bastion Hub 만들기이전 내용 Bastion Hub 란? [Bastion Hub 개요]Bastion Hub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과 관리의 편의성을puppy-foot-it.tistory.com앞서 프록시 패스를 위해 default.conf 파일에 접근했던 것을 기억하는가? 과연 이 파일이 무엇이길래 수정해주니 화면이 달라졌는지 알아보려 한다.default.conf 란? default.conf 파일은 일반적으로 웹 서버, 특히 NGINX와 같은 리버스 프록시 서버나 Apache HTTP 서버의 기본 설정 파일을 의미한다. 이 파.. 2025. 2. 20.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